(2017. 6. 28. 문화재위원회 반구대암각화 현지조사)
반구대 암각화 보존방법 심의를 위해 문화재청 문화재위원들이 현지조사를 벌였습니다.
울산시가 제안한 생태제방안과 문체부가 선호한 수위조절안으로 좁혀진 가운데 최종 결과가
주목됩니다. 이영남 기잡니다.
리포트)
문화재청 문화재위원들이 반구대 암각화를 찾았습니다.
생태제방안 심의를 보류한 건축문화재 분과위원 10명이 현지조사에 나선 겁니다.
인터뷰)김봉렬/건축문화재분과위원장(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문화재적 가치, 세계유산의 가치는 충분하고 결국은 어떻게 하면 보존하느냐.."
17년 전 시작된 암각화 보존 논의는 지난해 물막이댐이 실패로 끝나자 원점으로 되돌아갔습니다.
암각화 앞 30미터에 생태제방을 쌓자고 제안한 울산시는 김기현 시장이 직접 나서 타당성을 설명했습니다.
인서트)김기현/ 울산시장"생태제방을 쌓자는 것은 최선의 방안이 아니고 차선의 방안이라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운문댐 물을 가져오는 것이 해결이 안 됩니다."
생태제방안이 물 부족을 줄이고 홍수 위험을 막을 수 있다는 설명에, 위원들은 형상 변경 우려를 지적합니다.
인서트)김지민/ 문화재위원 (목포대 교수)
"거대한 인공 구조물이 들어왔을 때 주변 경관에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 같은데.."
다른 한편 도종환 문화체육 관광부 장관은 최근 수위조절안을 제시해 주목됩니다.
원형을 유지해 세계문화유산 등재는 유리하지만 하루 7만톤의 물을 경북에서 받아야하는 난제가 남습니다.
<스탠덥:현지 조사에 나선 문화재위원회는 다음 달(7월) 생태제방안에 대해 재심의할
예정입니다.>
생태제방안과 비슷한 안은 2011년 등 두 차례 문화재위원회에서 부결된 적이 있지만 분과위원의 3분의 2가
교체된 것 등은 변수입니다. 유비씨 뉴스 이영남입니다.(2017.6. 28 UBC 프라임뉴스)
'울산은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년전 수험생들 “꿈은 진행형”<20년 전 뉴스 그 후 2편> (0) | 2017.09.30 |
---|---|
1. 20년 만에 다시 만난 ‘광역둥이’ <20년 전 뉴스 그 후> (0) | 2017.09.30 |
<연구절벽2>울산 인구 30% 줄면 시나리오는? (0) | 2017.06.28 |
<인구 절벽1> "떠나고 안낳고"..기초단체로 전락? (0) | 2017.06.28 |
"그래도 더워"..물놀이장*아이스링크 '인기' (0) | 2017.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