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지금

울산신항 민자부두 '노무공급' 쟁점은?

이영남기자 2012. 4. 15. 21:42

(앵커멘트)      
 울산신항 민자부두에서 항운노조와 부두 운영사인 태영GLS의 마찰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노무 공급권을 놓고 입장차가 크기 때문인데, 무엇이 문제인지 이영남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1월 민자부두로 준공된 울산신항 남항부두 9번선석.

 운영사인 태영GLS가 항운노조 대신 자체 근로자를 뽑아 하역에 나서기로 하자 노조가 물리력을 행사하는 등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민자부두가 항운노조의 노무 공급을 거부한 것은 전국에서 처음 있는 일입니다.

 갈등의 근본적인 이유는 노무공급권에 대한 의견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운영사는 민자부두의 경우, 노무공급 법규가 명시적으로 없는 만큼, 경영 수지를 맞추기 위해 비용이 싼 인력을 뽑아 직접 하역을 한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김홍권/태영GLS 상임고문

"규정하는 법 없으니 우리가 직접 하역해도 문제될 것 없어"

 

 반면 항운노조는 국가고시로 항만하역요율을 정한 만큼, 민자부두도 국가귀속부두와 같이 항운노조가 인력을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이상해/울산항운노조 비상대책위원장

"공공성 위해 민자부두도 우리가 인력공급하는 관행 유지해야."

 

하역에 필요한 인력수를 놓고도 입장은 엇갈립니다.

(CG-IN) 운영사는 기계화를 이유로 공급 인력을 절반 이하로 낮추자고 제안하지만, 노조는 작업능률을 이유로 반대합니다.

 또 노조는 물량에 따라 비용을 주는 도급제를, 운영사는 월급제를 선호합니다.  (OUT)

 어정쩡한 정부 입장도 갈등을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노무 공급권 관련 조항을 손질하지 않고 민자부두 개발을 허가했다가, 문제가 생기자 항만청이 중재에 나선 겁니다.

 

 (인터뷰)김점순/울산해양항만청 계장

"항운노조가 집단행동으로 나설 경우 다른 부두에 악영향이 우려되고 울산항 이미지도 실추"

 

 울산신항의 민자부두는 2곳에 불과하지만 이번 사안은 항운노조가 1898년부터 행사해온
노무공급권을 정립하는 잣대가 될 수 있는 만큼 양측의 공방은 장기전이 될 전망입니다.

 ubc 뉴스 이영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