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지금

"지역 주택조합 부실 막아야"..대책 시급(울산시의회 행감)

이영남기자 2015. 12. 26. 21:03

 앵커멘트) 
 최근 지역주택조합들이 중도에 좌초되는 일이 잇따르자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개선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또, 공모제 교장 선발 과정에서 공정성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시의회 행정사무감사 이모저모, 이영남 기잡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지역주택조합 모델하우스.

 5백 가구를 짓는다며 조합원 백여명을 모집했지만, 예정 부지는 다른 업체에 공매로 팔리면서 조합원들이 피해를 봤습니다.

 또다른 지역주택조합은 주택설립 인가도 없이, 문화재 보전지역 인근에 아파트 분양을 광고해 물의를 빚었습니다.
---
 최근 5년 동안 울산지역 지역주택조합 27곳 가운데 17곳은 설립 인가를 받았지만, 10곳은 조합원 모집 뒤 지연돼
조합원들이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시의원들은 중도 무산으로 인한 조합원 피해를 막기 위해 조합 구성 단계부터 사전신고제 등 행정지도를 강화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인서트)변식룡/ 울산시의원
 "주택조합에서 사전 검증 절차 없이 막 하다보니 사업 자체가 위기를 맞는 경우도 있고 위기를 맞다보면 주택조합의 조합원될 사람이 피해를 입게 되죠."

 

 인터뷰)박희철/ 울산시 건축주택과장 "제도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사항을 건의했습니다. 그래서 국민권익위원회는 홍보물 등에 대한 행정지도는 가능한데 사전신고나 조합규약 동의서는 법령개정이 필요하다.."
 
 도입 6년째를 맞은 교장 공모제의 공정성도 도마에 올랐습니다.

 울산지역 52개 학교, 24%가 교장을 공모제로 선발하지만, 학교운영위 등 심사는 형식에
그치고, 공정성이 부족하다고 지적됐습니다.

 

 인서트)허령/ 울산시의원
 "모든 사람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채용해야하는 것이 맞습니다. 내부 밀실이나 밀어주기 이런 이야기가 왜 나옵니까?"
 
 이밖에 울산산업단지의 안전시스템 부족과 몇년 째 제자리걸음인 교육연수원 이전 문제에 대해서도 질의가
이어졌습니다. 
 ubc 뉴스 이영남입니다.(2015.11.16)